본문 바로가기
디지털도서관

[실습10] FRBR 모형 제시 기능, NISO 제시 기능 원문 찾아서 확인할 것

by 20170313 임창현 2021. 10. 19.

FRBR모형에서 제시한 기능

 

1. 검색(Find)기능 : 이용자가 제시한 검색기준에 부합하는 것들을 검색, 검색 결과는 단일의 정보자원 또는 복수의 정보자원들을 제시.

2. 식별(Identify)기능 : 정보자원의 객체를 식별.

 

3. 선택(Select)기능 :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객체를 선택. 이용자가 요구한 것에 부합하는 것을 선택, 부합하지 않은 것은 포기.

 

4. 획득(Obtain)기능 : 선택한 객체에 대한 접근 획득. 구매나 임대 등을 통하거나 온라인으로 객체에 접근하여 획득.

 

 

NISO에서 제시한 기능

Understanding Metadata [NISO] (p.1~2)

1. 자원의 탐색 (Resource Discovery)

   - 적합성 기준에 의해 자원들의 검색

   - 자원들의 식별

   - 유사한 자원들을 한 곳으로 배열

   - 유사하지 않은 자원들을 분리

   - 소장처의 정보 부가

 

2. 전자자원조직 (Organizing Electronic Resources)

   - 이용대상층 또는 주제 영역에 따라 자원들의 링크 조직

   -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이 페이지들을 동적으로 구성

 

3. 상호운용성이용 (Interoperability)

   - 정의된 메타데이터 스킴들, 전송 프로토콜들, 스킴 간의 변환(crosswalk)을 이용하여, 네트워크에 분산된 자원들을 통합적으로 검색

   - Z39.50 프로토콜 기술 등을 이용한 분산시스템 검색(cross-system search)

   - OAI 프로토콜 등을 이용한 메타데이터 수확

 

4. 디지털 식별 (Digital Identification)

   - 표준번호 형식의 요소들(예. ISBN) 사용

   - 파일명, URL, 영구식별자(PURL, DOI 등)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객체의 소장 정보를 식별

 

5. 아카이빙보존 (Archiving and Preservation)

   - 디지털정보는 깨지기 쉽고, 손상될 수 있음.

   - 저장기술의 변경으로 인해 사용불가가 될 여지가 있음.

   - 포맷전환과 에물레이션 기법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는 전략이 될 수 있음.

   - 메타데이터는 미래에도 자원들의 영속성과 접근성을 보장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함.

   - 디지털 객체의 계통을 추적하고 물리적인 상세한 특성을 기술하고, 미래의 기술로 에물레이션하기 위한 행동들을 문서화하는 등과 같이 아카이빙과 보존을 위한 특별한 요소들이 필요함.